국가는 어떻게 생각하는가
존 미어샤미어의 질문
존 J. 미어샤이머 | 서해문집
2024년 07월 10일
9791192988764
399 페이지
정가 : 24,000원
총키핑권수 : 1 권
현재대출가능권수 : 1 권
대출정보
대출가능한 도서입니다.
이책은
세계적 석학 존 미어샤이머의 국제정치 비평서- 강력하고 도발적인 책! 제프리 삭스 추천! ★ “외교 정책 입안자들이 이성적으로 숙고하고 다른 국가의 합리적 관점을 이해할 것을 촉구하는 강력하고 중요한 에세이다.” _ 제프리 삭스(컬럼비아 대학교 교수) 국제정치의 핵심 질문에 대한 획기적인 고찰, “국가는 합리적으로 행동하는가?” 국제정치/외교 분....+전체보기야의 세계적 석학이자 《강대국 국제정치의 비극》 《미국 외교의 거대한 환상》 저자인 존 미어샤이머의 또 하나의 역작! 그는 이 책 《국가는 어떻게 생각하는가》에서, 국제정치학의 핵심 질문인 '국가는 합리적으로 행동하는가?’라는 근본적인 물음에 대한 획기적인 고찰을 제공한다(그의 제자인 서배스천 로사토 교수와 함께 썼다). 저자들은 조지 부시, 블라디미르 푸틴, 아돌프 히틀러 등 과거와 현재의 세계 지도자들이 두 차례의 세계대전부터 냉전, 탈냉전 시대에 이르기까지, 중대한 역사적 사건의 맥락에서 합리적으로 행동했는지를 조사하여 '국가의 합리성’에 대한 자신들의 입장을 주장한다. 냉전 이후 미국의 나토 확장 전략은 합리적인가? 제1차 세계대전을 개시하기로 한 독일의 결정, 제2차 세계대전 때 미국 진주만을 공격하기로 한 일본의 결정은 합리적인가? 1960년대 미국의 쿠바 침공, 소련의 체코슬로바키아 침공은 또 어떨
목차
머리말 제1장 '합리적 행위자’ 가설 : 이론적 틀, “국제정치에는 합리적 행위자가 존재한다” 국제정치에서 합리성이란 무엇인가: 전략적 합리성과 불확실성 개인의 합리성 | 집단의 합리성 국가는 정말 합리적 행위자인가: '전략적 합리성’의 정의 합리성의 두 가지 핵심, '신뢰성 있는 이론’과 '심의’ | 기대효용 극대화 국가는 항상 합리적인....+전체보기가: '전략적 합리성’에 대한 평가 일상적 합리성 vs 비합리성 | 정신적 지름길 합리적 국가의 최우선 목표는 무엇인가: 목표 합리성 이 책의 구성과 로드맵 제2장 전략적 합리성과 불확실성 : 불확실한 세상을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 전략적 합리성의 두 차원: 정책결정자 개인과 국가 개인의 합리성 | 집단의 합리성 현실 세계를 어떻게 이해할까: 확실한 세상, 위험한 세상, 불확실한 세상 불확실성이 작용할 때: 심각한 정보 부족의 4가지 사례 제2차 세계대전 이후 미국의 대유럽 정책 | 냉전 이후 미국의 대동아시아 정책 | 진주만 공격 이전 일본의 정책 | 쿠바 미사일 위기 당시 미국의 정책 제3장 전략적 합리성의 정의 : 신뢰성 있는 이론에 근거하는가, 심의 과정을 거쳤는가 국제정치의 여러 이론: 신뢰성 있는 이론 vs 신뢰성 없는 이론 불확실한 세상에서 이론이 갖는 덕목들 | 이론과 정책 | 신뢰성 있는 이론이란 | 신뢰성 있는 이론 목록: 자유주의 이론과 현실주의 이론 | 신뢰성 없는 이론이란 | 신뢰성 없는 이론 목록: 문명 충돌 이론부터 편승 이론까지 | 비이론적 사고: 데이터 지향 또는 감정 지향적 사고 개인의 합리성: 합리적 정책결정자는 이론 지향적이다 국가의 합리성: 관점의 통합과 심의 과정 vs 결과: 합리성이란 과정에 관한 것이다 제4장 합리성의 다른 정의들 : 합리적 선택 이론과 정치심리학을 중심으로 기대효용 극대화: 합리적 선택 이론가들에 대한 비판 합리성을 어떻게 정의할까 | 개인의 합리성에 대한 정의의 부재 | 개인의 합리성에 대한 미흡한 정의 | 국가의 합리성에 대한 정의의 부재 정치심리학: 국제정치에서는 비합리성이 우세하다?. 비합리성에 대한 미흡한 정의 유추와 휴리스틱: 정치심리학자들에 대한 비판 제5장 합리성과 대전략 : 국제정치에서 대전략 결정의 5가지 사례 제1차 세계대전 이전 독일의 삼국협상 대처 방안 결정 제2차 세계대전 이전 일본의 소련 대처 방안 결정 제2차 세계대전 이전 프랑스의 나치 위협 대응 방안 결정 냉전 이후 미국의 나토 확장 결정 냉전 이후 미국의 자유주의 패권 추구 결정 제6장 합리성과 위기관리 : 국제정치에서 위기 대응 결정의 5가지 사례 + 전쟁 악화 결정의 2가지 사례 1914년 독일의 제1차 세계대전 개시 결정 1941년 일본의 미국 진주만 공격 결정 1941년 독일의 소련 침공 결정 1962년 미국의 쿠바 미사일 위기 해결 결정 1968년 소련의 체코슬로바키아 침공 결정 미국의 한국전쟁과 베트남 전쟁 확대 결정 제7장 비합리적 국가 행동 : 전략적 비합리성의 4가지 사례 제1차 세계대전 이전 독일의 위험 전략 결정 제2차 세계대전 이전 영국의 무책임 전략 결정 미국의 쿠바 침공 결정 미국의 이라크 침공 결정 제8장 목표 합리성 : 국가는 어떻게 생각하는가 목표 합리성의 정의 목표 합리성의 실천 생존을 우선시하다 | 생존 위협 | 생존을 무시하기 에필로그 : 국제정치에서의 합리성 해제 : 현실주의 이론가 미어샤이머에 대한 오해와 사실 주
도서상세가 비어있어 죄송합니다.
서지정보 입력인원이 지속적으로 상세가 부족한 도서에 대해서는 정보를 입력하고 있습니다.
더 충실한 도서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