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책은
■진경산수화란 무엇인가
미술사에서 실경을 그린 그림을 가리켜 실경산수화라 한다. 우리나라에서는 고려시대 이후 조선 시대까지 이러한 실경산수화가 꾸준히 제작되었다. 그런데 조선 후기, 18세기에 그려진 실경산수화는 일반적인 통칭을 사용하지 않고 특별히 진경산수화라고 불리며 높이 평가되고 있다. 조선 후기의 진경산수화가 이처럼 이전의 실경산수화와 구분되고 높....+전체보기이 평가되는 것은 그것이 한 시대의 정신과 예술을 대변하는 회화로서 크게 유행하였을 뿐 아니라 독창적이고 수준 높은 예술적 성취를 이루어냄으로써 한국적인 문화와 정체성을 보여주기 때문이다.
진경산수화의 등장은 18세기 이후 조선 사회의 사상적, 문화적인 전환과 관련이 있다. 이 시기에 이르러 성리학적인 명분과 이념을 중시하는 보수적인 가치관이 퇴조하고 현실주의적인 사상과 가치관이 대두하였다. 전반적으로 이념보다는 현실, 명분보다는 실제, 관념보다는 경험, 고(古)보다는 금(今), 규범이나 법보다는 개성과 자아를 중시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문학과 회화에서는 관념적, 고답적, 은유적 주제보다 현실적, 사실적, 직설적인 주제를 추구하기 시작하였다. 이에 따라 산수화에서도 성리학의 이념적ㆍ이상적 가치를 은유적으로 담아낸 관념산수화보다 실제로 존재하고, 경험하고, 관찰할 수 있는 대상인 실경, 곧 진경을 그리는 진경산수화가 유행하게 된다. 궁중과 사대부, 중인과 서민 등 다양한 계층의 주문과 후원을 받으면서 진경산수화는 화단의 변화를 촉진하였고 조선 후기 회화 예술을 대표하게 되었다.
■239점의 도판과 함께 보는 조선 후기 회화사
- 진경산수화의 주요 작가와 대표작들 대거 수록
윤두서, 〈자화상 〉 외
정선, 〈금강전도〉ㆍ〈인왕제색도〉ㆍ《풍악도첩》 외
강세황, 〈송도전경도〉ㆍ〈영통동구도〉 외
김윤겸, 〈백악산도〉 외
정수영, 〈백사회야유도〉 외
이인상, 〈구룡연도〉 외
심사정, 〈만폭동도〉 외
허필, 〈죽서루도〉 외
김하종, 〈헐성루망전면전경도〉 외
강희언, 〈북궐조무도〉 외
김홍도, 〈총석정도〉 외
김득신 외, 〈환어행렬도〉 외
윤제흥, 〈화적연도〉 외
이방운, 〈금병산도〉 외
김응환, 〈금강전도〉 외
■진경산수화는 무엇을 그렸을까 - 진경산수화의 제재
명승명소도
조선시대의 수도인 한양과 한강변의 경치는 조선 초부터 각종 행사와 모임의 배경이 됨으로써 많이 재현되었고, 조선 후기의 진경산수화에서도 크게 애호되었다. 정선은 다양한 계기로 한양의 여러 승경을 재현하였다. 〈장안연우도〉(長安煙雨圖), 〈서빙고망도성도〉(西氷庫望都城圖), 〈서교전의도〉(西郊餞儀圖) 등은 한양의 전경을 웅장한 구도로 재현한 작품들이다. 〈인왕제색도〉, 《장동팔 경첩》(壯洞八景帖), 《양천
목차
책머리에
들어가며
Ⅰ. 진경산수화의 정의와 제작 배경
1. 진경산수화의 정의: 진眞·진경眞境·진경眞景
2. 진경산수화의 제작 배경에 대한 논의
1) 현실주의
2) 새로운 시각 인식과 시각적 사실성의 추구
3) 천기론의 영향
4) 전통 실경산수화의 영향
Ⅱ. 진경산수화 연구에 대한 비판적 검토
....+전체보기 1. 진경산수화에 대한 선행 연구
2. 진경문화·진경시대론에 대한 비판적 검토
3. 나가면서
Ⅲ. 조선 후기 진경산수화의 제재와 관점
1. 진경산수화의 제재
1) 명승명소도
2) 야외아회도
3) 유거·정사·별서도
4) 구곡도
5) 공적 실경도
6) 기행사경도
2. 진경산수화의 시점과 투시법
1) 다초점투시
2) 조망
3) 풍수
4) 원근투시
Ⅳ. 진경산수화의 유형과 변천
1. 천기론적 진경산수화: 답경모진과 천기유동
1) 천기론과 진경산수화
2) 겸재 정선의 천기론적 진경산수화
2. 사의적 진경산수화: 현실 관조와 산수 취미
1) 조선 후기의 선비그림, 유화의 발전과 사의성의 추구
① 조선 후기의 선비그림, 유화의 발전 ② 사의성의 추구와 사의적 진경산수화
2) 사의적 진경산수화에 미친 중국
판화의 영향
3) 사의적 진경산수화의 성격과 특징
그리고 화풍
① 선비화가 심사정·강세황·허필 외 ② 선비화가 김윤겸·이인상·윤제홍 외 ③ 선비화가 정수영·이방운·이의성 외
4) 나가면서
3. 사실적 진경산수화: 새로운 시각 인식과
시각적 사실성의 추구
1) 조선 후기 서학의 도입
① 과학기술 문물에 대한 탐구와 실용 ② 현실 개혁의 대안 ③ 과학적 지식의 교양화
2) 시각적 사실성의 추구
3) 서양 투시도법의 성격 및 기법
① 개념 및 표현 기법 ② 중국 회화에 반영된 서양 투시도법
4) 서양 투시도법의 수용과 사실적
진경산수화
① 산술적 이해 ② 회화적 실험과 수용 ③ 평행사선투시도법의 새로운 정립
5) 나가면서
Ⅴ. 겸재 정선과 진경산수화
1. 발견된 대가: 겸재 정선에 대한 평가의 역사
2. 사의와 진경의 경계를 넘어서: 기려도를 중심으로
3. 겸재 정선과 소론계 인사들의 교류와 후원
1) 18세기 전반 문예계와 소론계 인사들의 활동 양상
① 겸재 정선과 소론계 인사들의 교류 ② 18세기 전반 소론의 사상과 학풍 그리고 문예
2) 소론계 인사의 정선에 대한 후원과 평가
3) 나가면서
4. 겸재 정선의 진경산수화와 서양화법
1) 정선의 천문학겸교수직과 서학의 경험
2) 정선이 구사한 서양화법
① 지면과 수면의 표현 ② 대기의 표현 ③ 서양식 투시도법의 구사 ④ 전통적인 기법과 서양화법의 절충
3) 나가면서
5. 겸재 정선의 진경산수화풍과 고지도
1) 겸재 정선 화풍의 구성 요소: 필묵법·준법·수지법·태점을 중심으로
2) 18세기 후반 고지도에 나타난 정선 화풍의 영향과 변용
① 정선 화풍의 수용과 변용: 18세기 중엽 ② 정선 화풍의 변용과 남종화풍으로의 전환: 18세기 말엽
3) 19세기 고지도 화풍의 변화와 정선 화풍의 잔영
① 보수적 화풍의 고지도: 19세기 전반 ② 새로운 남종화풍으로의 전환: 19세기 전반 ③ 정선 화풍의 잔영: 19세기 후반
4) 나가면서
Ⅵ. 진경산수화의 다양성
1. 조선 후기 관료 문화와 진경산수화: 소론계 관료를 중심으로
1) 17세기 남구만계 십경도류 회화
2) 18세기 소론계 관료의 환력과 진경산수화
3) 나가면서
2. 표암 강세황의 사실적 진경산수화: 일상과 평범, 상경의 추구
1) 강세황의 기행사경도
2) 일상과 평범, 상경의 추구
3) 새로운 시각 인식과 서양화법의 수용
4) 공인 의식과 환유의 기록
5) 나가면서
3. 남한강 실경산수화
1) 명승유연과 기행사경
2) 은둔과 풍류
3) 비운과 충절의 역사
4) 나가면서
4. 현실의 풍경, 마음의 풍경: 조선 후반기의 전별도
1) 헤어짐의 미학과 전별도의 제작
2) 조선 후기 이전의 전별도
3) 조선 후기 진경산수화와 전별도
4) 조선 말기 사의적인 전별도
주
참고문헌
도판 목록
찾아보기
* 서지정보 입력인원이 지속적으로 상세가 부족한 도서에 대해서는 정보를 입력하고 있습니다.
* 더 충실한 도서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