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책은
네트워크 구축과 관리의 길잡이
LAN 케이블, 광케이블부터 라우터, DHCP,
LAN 스위치, 무선 LAN, 프록시, 로드 밸런서,
클러스터링, 백업과 복구, 데이터센터까지
인프라 엔지니어의 기초를 다진다.
책속으로 추가
5조: 무지는 죄다
엔지니어가 모든 기술을 아는 것은 어려울지도 모릅니다. 하지만 비록 전문 분야가 아닌 기술이라도 가능한 한 알....+전체보기아둘 필요는 있습니다. IT 기술의 각 요소는 홀로 존재해서 가치가 있는 것이 아닙니다. 그 밖의 다른 어떤 분야에 작용함으로써 비로소 의미가 있는 기술 분야입니다.
IT 인프라 엔지니어에게 전문 분야가 아니라는 말은 없다고 생각하는 편이 좋겠지요. '그건 내 전문이 아니야’라는 말은 '잘 모르겠으니 그대로 두자’는 변명밖엔 안 됩니다. 전문 분야가 아니라도 명확하지 않거나 궁금한 게 있을 때는 어느 정도 이해할 수 있을 때까지 알아 두는 것이 중요합니다. '무지는 죄’라고 했지만, 엄밀하게 말하면 무지한 채로 있는 게 죄입니다.
6조: 시간은 만드는 것이다
상사나 동료가 업무 외에 뭔가 부탁하거나 물어봤을 때 '도무지 짬이 안나요’ '지금은 시간이 없어요’라며 거절하는 사람이 있을 것입니다. 이런 태도는 기술자로서 두려운 습관입니다. 여유나 시간은 그냥 주어지는 것이 아니라, 자신이 만드는 것입니다. 만약 여유나 시간을 만들 수 없다면 엔지니어로서 지금 이상으로 기술을 닦아 성장할 수 없습니다. 지금, 회사나 조직에서 주어진 업무는 기본적으로 현재 자신이 할 수 있거나 혹은 할 수 있을 거로 보이는 작업에 한정됩니다. 엔지니어로서 기술을 향상하려면 업무 외에도 스스로 학습하거나 확인하거나, 시험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 만약 시간을 만들 능력이 없다면 그 새로운 기술에 접해볼 수 없습니다.
'시간이 없다’는 말이 '하고 싶지 않다’는 의미라면 구제할 수 있지만, 만약 정말로 '시간이 없다’면
엔지니어로 살아가는 것은 무리이므로 직종을 바꿔보세요.
… 생략
목차
1장 알쏭달쏭 'DHCP 서버 교과서’
1.1 DHCP란 무엇일까요?
1.1.1 DHCP로 보는 네트워크 관리의 변천
1.1.2 IP 네트워크의 구조와 DHCP의 역할
1.1.3 가정에도 있는 DHCP 서버
1.1.4 모바일 라우터와 테더링의 차이
1.1.5 정리
1.2 DHCP 무대의 뒤편
1.2.1 DHCP 프로토콜 완벽 해설
1.2.2....+전체보기 IP 주소 할당의 흐름(전반)
1.2.3 IP 주소 할당의 흐름(후반)
1.2.4 그 밖의 메시지
1.2.5 정리
1.3 DHCP 서버 구축과 운영
1.3.1 KVM 가상 머신으로 실험 환경 구축
1.3.2 DHCP 서버를 구축
1.3.3 DHCP 클라이언트로 동작 확인
1.3.4 DHCP로 고정 IP 주소 설정
1.3.5 정리
1.4 최신 IP 주소 관리 방법
1.4.1 서버 구축 자동화에도 도움이 되는 DHCP
1.4.2 서버 가상화 환경의 DHCP
1.4.3 클라우드 기반 DHCP
1.4.4 스마트폰의 IP 주소와 CGN/LSN의 세계
1.4.5 정리
2장 라우터 교과서
2.1 라우터의 기능과 라우팅 구조
2.1.1 라우터란
2.1.2 L3 스위치와 다른 점
2.1.3 라우팅이란
2.1.4 마지막으로
2.2 라우터에서 이용되는 기술 각론
2.2.1 라우터는 외부 경계
2.2.2 통신에서의 터널 기술
2.2.3 터널 이용 시 주의할 점
2.2.4 WAN 종단 장치로써의 라우터
2.2.5 업무용으로 필수인 우선 제어
2.2.6 트래픽의 시각화
2.2.7 NetFlow를 사용해보자!
2.2.8 시작하면서
2.2.9 LISP가 태어난 배경
2.2.10 LISP의 간접층 - ID(식별정보)와 Locator(위치정보)의 분류
2.2.11 LISP의 구조
2.2.12 LISP 매핑 서비스
2.2.13 LISP에 의한 멀티 호밍
2.2.14 LISP 이용 사례
2.3 활용 범위가 넓어지는 BGP와 Vyatta를 이용한 가상 환경의 라우팅
2.3.1 인터넷을 지탱하는 BGP
2.3.2 인터넷은 AS의 집합
2.3.3 조직간, 조직 내의 라우팅
2.3.4 정책을 반영하여 경로를 최적화
2.3.5 인터넷 이외에서도 사용되는 BGP
2.3.6 IP-VPN 에지로 사용되는 BGP
2.3.7 BGP 정리
2.3.8 대규모 시스템도 클라우드 위에
2.3.9 가상 라우터와 Vyatta
2.3.10 Vyatta를 사용하여 가상 사설 클라우드 환경을 구축하자
2.3.11 정리
3장 스위칭 허브 교과서
3.1 LAN 스위치의 기본
3.1.1 시작하기
3.1.2 LAN 스위치의 개요
3.1.3 학습과 포워딩
3.1.4 VLAN
3.1.5 L3 스위치
3.1.6 정리
3.2 LAN 스위치의 구조
3.2.1 LAN 스위치의 아키텍처
3.2.2 LAN 스위치와 라우터의 차이
3.2.3 고신뢰화
3.3 LAN 스위치의 진화
3.3.1 시작하기
3.3.2 플로우 베이스의 한계 극복
3.3.3 병렬 분산 처리
3.3.4 동적 라우팅과 자율분산제어
3.3.5 지금까지의 레이어2 제어
3.3.6 앞으로의 레이어2 제어
4장 케이블링 교과서(기초)
4.1 LAN 케이블을 둘러싼 환경
4.1.1 Ethernet 이전의 네트워크
4.1.2 Ethernet의 역사
4.1.3 Ethernet 케이블링
4.2 LAN 케이블의 기초와 동작을 학습한다
4.2.1 시작하기
4.2.2 트위스트 페어 이전의 LAN 케이블
4.2.3 규격 명명 규칙
4.2.4 동축 케이블 문제
4.2.5 트위스트 페어 케이블
4.2.6 UTP와 STP(실드)
4.2.7 주파수 특성
4.2.8 802.3 규격과 트위스트 페어 케이블
4.2.9 선을 꼬는 이유
4.3 LAN 케이블 만든다
4.3.1 압착공구
4.3.2 LAN 케이블 탈피기
4.3.3 니퍼
4.3.4 LAN 케이블 테스터
4.3.5 LAN 케이블
4.3.6 RJ-45 플러그
4.3.7 스트레이트와 크로스
4.3.8 AutoMDI/MDI-X 문제
4.3.9 마치면서
5장 실천! 케이블링 교과서(응용)
5.1 네트워크 고속화와 와이어링 기술 설명
5.1.1 15년 전의 네트워크 환경
5.1.2 현재 네트워크 환경
5.1.3 최신 와어어링에 대해
5.1.4 배선형태
5.2 LAN 케이블의 구조와 배선 기술
5.2.1 시작하기
5.2.2 LAN 케이블의 성능과 구조
5.2.3 의외로 모르는 케이블의 구조
5.2.4 매우 중요한 배선 기술
5.2.5 LAN 케이블 배선에서 해선 안 되는 일
5.2.6 배선 시공의 실제
5.2.7 프로에게 듣는 LAN 케이블 제작법
5.2.8 측정 시험
5.3 프로에게 듣는 광케이블의 지식과 접속
5.3.1 시작하기
5.3.2 광섬유의 구조
5.3.3 광케이블의 종류
5.3.4 광케이블 연결 방법
5.3.5 광섬유 연결 순서
5.3.6 광케이블 연결 작업
6장 무선 LAN의 교과서
6.1 (현장에서 찾다!) 무선 LAN 환경 구축의 5가지 포인트
6.1.1 ① AP 위치와 설정이 쾌적함을 좌우한다
6.1.2 ② 클라이언트가 악영향을 미치기도 한다
6.1.3 ③ 무선 LAN 사용법을 바르게 이해한다
6.1.4 ④ 도입 후 관리도 생각하자
6.1.5 ⑤ 무선 LAN 환경의 미래를 생각한다
6.2 (알고 있는가?) 무선 LAN 환경 구축의 함정
6.2.1 무선 LAN 환경 이용이 적합한 업무, 적합하지 않은 업무
6.2.2 당신이 모르는 액세스 포인트 선택 요령
6.2.3 무선 LAN 사용자 관리는 어떻게 하는가?
6.2.4 통신 속도와 안정성, 어느 쪽을 선택하는가?
6.3 (역사로 돌아보다) 무선 LAN 환경 보안과 원활한 운영
6.3.1 무선 LAN의 시작
6.3.2 무선 LAN 환경의 보안
6.3.3 라이브도어의 케이스 스터디
6.3.4 사무실 무선 LAN의 운영
6.3.5 끝으로
7장 네트워크 엔지니어를 위한 프록시 서버 교과서
7.1 역사로 보는 프록시 서버의 역할과 변천
7.1.1 역사로 보는 프록시
7.1.2 포워드와 리버스
7.1.3 프록시 서버의 동작과 이용법
7.1.4 프록시 서버의 변천
7.2 리버스 프록시의 용법과 실례
7.2.1 시작하기
7.2.2 콘텐츠 캐싱
7.2.3 부하분산(로드 밸런싱)
7.2.4 콘텐츠 압축
7.2.5 SSL 가속
7.2.6 싱글사인온
7.2.7 끝으로
7.3 클라우드 서비스로 제공되는 프록시 서버 이용 방법과 이용 사례
7.3.1 시작하기
7.3.2 클라우드형 로드 밸런스 프록시
7.3.3 클라이언트형 콘텐츠 캐시 프록시
7.3.4 클라우드형 보안 프록시
7.3.5 클라우드형 메일 프록시
7.3.6 클라우드형 스토리지 프록시
7.3.7 끝으로
8장 로드 밸런서 교과서
8.1 로드 밸런서에서 ADC로
8.1.1 로드 밸런서의 기능
8.1.2 최신 로드 밸런서의 동향
8.2 소프트웨어 기반 로드 밸런서
8.2.1 시작하기
8.2.2 하드웨어 전용기와 소프트웨어 기반 비교
8.2.3 소프트웨어로 로드 밸런스를 구현하는 방법
8.2.4 소프트웨어 로드 밸런서 구성
8.2.5 Nginx에 의한 로드 밸런스의 실례
8.2.6 LVS에 의한 로드 밸런스의 실례
8.2.7 HA(이중화) 구성
8.2.8 끝으로
8.3 클라우드상의 로드 밸런서 구현과 이용
8.3.1 클라우드에서의 로드 밸런서
8.3.2 클라우드 벤더에 따라 달라지는 제공 방식
8.3.3 사쿠라 클라우드의 로드 밸런서 기능
8.3.4 DSR 방식에 대해서
8.3.5 사쿠라 클라우드에서 로드 밸런서를 사용해보자
8.3.6 사쿠라 클라우드 로드 밸런서 기능의 이면
8.3.7 끝으로
9장 클러스터링 교과서
9.1 클러스터 시스템의 구조
9.1.1 멈추지 않는 서비스를 목표로
9.1.2 다운 타임으로 연결되는 장애
9.1.3 클러스터 시스템의 구성 패턴
9.1.4 클러스터 시스템의 성립
9.1.5 클러스터 시스템의 동작
9.1.6 클러스터 시스템 설계
9.2 데이터 센터에서의 클러스터링의 실제
9.2.1 고가용성을 실현하는 클러스터링
9.2.2 고가용성 실현의 전제가 되는 퍼실리티
9.2.3 데이터 센터에서
* 서지정보 입력인원이 지속적으로 상세가 부족한 도서에 대해서는 정보를 입력하고 있습니다.
* 더 충실한 도서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