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의 밥상
음식문화로 살펴보는 조선시대, 조선 사람들
김상보 | 가람기획
2023년 07월 21일
9788984355811
328 페이지
정가 : 17,800원
총키핑권수 : 1 권
현재대출가능권수 : 1 권
대출정보
대출가능한 도서입니다.
이책은
밥상차림에서 보이는 신분과 문화 조선시대에 밥상을 차린 사람들은 누구이며, 그 재료는 어디에서 왔을까? 조선 사회에서 신분제도란 사회를 유지하는 가장 큰 기틀이었다. 그런 중요한 규율이니만큼 의식주에 있어 반상의 법도가 아주 엄격했고, 일상생활의 규범에서도 세세하게 정해진 방식이 있었다. 《조선의 밥상》은 궁중, 관청, 양반가, 중인가로 나누어 왕족, ....+전체보기양반, 중인의 밥상을 들여다보고, 그 작은 상 안에 담긴 법도와 문화를 이해하기 쉽게 풀어 설명한다. 조선왕조에서는 18세기 말까지만 하더라도 공식적인 자리에서는 밥·국·반찬 모두를 포함해 왕과 왕족은 7기, 양반은 4기, 중인은 2기를 차려 먹었다. 그렇다면 '그 밥상을 차린 사람들’은 누구였을까? 궁중에서 왕족들이 직접 밥상을 차리
목차
머리말 제1부 | 음식문화 조선시대 음식문화 성립 배경 음식을 만든 사람들 궁중 관청 양반가 중인 밥상차림으로 본 신분사회 계급에 따라 달리한 밥상차림 밥상차림의 왜곡 및 변질 정통적인 조선왕조의 수라상차림 밥상차림의 문화 음양오행사상에서 출발한 밥상차림 음양오행사상에 따른 상차림과 시식, 맛과 색깔 약선과 양념 조선왕조의 궁중음식 변천사 1일 7식을 먹....+전체보기은 조선의 상층부 명나라 사신에게 제공한 소선 조반상 최상층부의 안주와 행주 잘못된 음주문화 점심의 유래 혼례음식문화 처가살이혼에서 시집살이혼으로 임진왜란 이후의 반친영혼 현구고례 제사음식문화 기신제·시제(묘제)·다례 불교와의 융합이란 측면에서 바라본 유교의 제사음식문화 음양오행사상으로 본 제사음식문화 외식문화 장시의 발달과 국밥문화 구한말의 술집문화 요릿집 음식으로 전락한 궁중음식 조선시대 여성들의 화전놀이 제2부 | 찬품 각론 조선시대 찬품 개괄 필수식품이었던 쌀·소금·건어물·젓갈·콩·장 명나라 황제에게 보낸 식품 선물 목록 음식의 웃꾸미를 뜻한 말, 교태 원나라 《거가필용》의 영향을 받은 육류 찬품 주식류 백반·팥물밥·유반·골동반·잡곡반 죽 국수 상화와 만두 탕류 전철과 전골 승기아탕 또는 승기악탕 열구자탕·신설로·신선로 면신설로 사라져 버린 시식 - 잡탕과 골동갱 궁중
도서상세가 비어있어 죄송합니다.
서지정보 입력인원이 지속적으로 상세가 부족한 도서에 대해서는 정보를 입력하고 있습니다.
더 충실한 도서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