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진 백운동 별서정원
동백 숲길 맑은 그늘 물 끝난 곳 구름 이네
정민 | 글항아리
2015년 03월 23일
9788967351861
367 페이지
정가 : 19,000원
총키핑권수 : 2 권
현재대출가능권수 : 2 권
대출정보
대출가능한 도서입니다.
저자소개
충북 영동 출생. 한양대 국문과를 졸업하고 모교 국문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18세기 조선 지식인의 지식 경영에서 한국학 속의 그림까지 고전과 관련된 전방위적 분야를 탐사하고 있다. 우리 한시 삼백수 7언절구 편에 이어 5언절구 편을 펴냈다. 7언시에 비해 글자 수는 줄었는데 평설은 대체로 더 길어졌다. 시인이 말을 아꼈기 때문에 감상자가 채워야 할 빈 여....+전체보기백이 그만큼 넓어진 탓이다. 그동안 한시 관련 저서로 삼국부터 근대까지 우리 7언절구 삼백수를 가려 뽑고 풀이한 《우리 한시 삼백수-7언절구 편》, 한시의 아름다움을 탐구한 《한시 미학 산책》, 한시로 읽는 다산의 유배 일기 《한밤중에 잠깨어》, 사계절에 담긴 한시의 시정을 정리한 《꽃들의 웃음판》, 한시 속 신선 세계의 환상을 분석한 《초월의 상상》, 문학과 회화 속에 표상된 새의 의미를 찾은 《새 문화사전》, 어린이들을 위한 한시 입문서 《정민 선생님이 들려주는 한시 이야기》 등을 썼다......이하생략
이책은
강진 백운동 별서의 숨어있는 정원 풍부한 문헌과 사진으로 옛 별서 공간을 복원하다 동백숲에 둘러싸인 소로를 따라가다 마주치는 별서 끊임없이 시로써 노래되며 가던 이의 발길을 붙잡았던 곳 다산과 초의 등 수많은 문사는 왜 이곳에 멈추어 시심을 감추지 못했을까
목차
서언 = 4 서설 = 10 제1장 강진의 전통 원림 백운동 별서 정원 사진과 그림으로 본 백운동 별서 정원 = 20 백운동 별서 정원의 공간 구성과 경관 요소 = 27 외원 공간 내원 공간 제2장 백운동 별서의 연원과 내력 백운동 별서 정원의 조성 내력 = 44 『백운세수첩』과『견한록』을 통해 본 백운동의....+전체보기 경관과 생활 = 54 「백운동명설(白雲洞名說)」 「백운동유서기(白雲洞幽棲記)」 「백운동관물음(白雲洞觀物吟)」 「영신거(詠新居)」와「영신축(詠新築)」 「백운금명(白雲琴銘)」 「백운동장백해(白雲洞藏魄解)」 「백운동한면록(白雲洞閑眠錄)」 백운동을 지켜온 사람들 = 73 제3장『백운첩』의 백운동 12경과 다산의 편지 「백운동도」와 백운동 12경 = 84 『백운첩』의 체제와 구성 = 92 다산의 백운동 시 13수 감상 = 96 「백운동 이씨의 유거에 부쳐 제하다(寄題白雲洞李氏幽居)」 「옥판봉(玉版峰)」 「산다경(山茶徑)」 「백매오(白梅塢)」 「홍옥폭(紅玉瀑)」 「유상곡수(流觴曲水)」 「창하벽(蒼霞壁)」 「정유강(貞蕤岡)」 「모란체(牡丹砌)」 「취미선방(翠黴禪房)」 「풍단(楓檀)」 「정선대(停仙臺)」 「운당원(霣簹園)」 백운동에 보낸 다산의 편지 = 130 「백운동에 삼가 보냄(謹拜謝狀)」 「백운동에 보내는 답장(白雲洞省史回敬)」 「다산초당에서 백운동에 보낸 안부 편지(白雲洞省史敬納 茶山侯狀)」 「열초의 답장(洌樵謝書)」 「두릉에서 보낸 안부 편지(斗陵侯狀)」 「두릉에서 백운동에 보내는 조문 편지(白雲洞廬次侍納 斗陵唁疏)」 「백운동 효려에 보내는 두릉의 조문 편지(白雲洞孝廬侍納 斗陵唁疏)」 「이시헌에게 주는 편지(興白雲洞李時憲)」 「백운산관에 보내는 정학연의 답장(謹拜謝上白雲山館經几下)」 제4장 백운동을 노래한 역대 인물과 시문 초기 8영시 계열 연작 = 154 삼연 김창흡의「백운동 8영」외 포음 김창집의「백운동 8영」 신명규의「백운동초당 8영」 창계 임영의「백운동 8영」외 연민 이가원의「백운동 8영」 후기 12경시 계열 연작 = 190 치원 황상의「백운동 자이당 이시헌의 유거에 제하다」외 16수 자이당 이시헌의「백운동 14경」외 백운동을 노래한 그 밖의 한시들 백운동을 노래한 그 밖의 한시들 = 223 이하곤의「남유록」외 인계 송익휘의「백운동 10수」 김재찬의「백운동」 초의 의순의「백운동견백학령유작」외 소치 허련의「심입백운동」외 귤은 김유의「유백운동」외 제5장 백운동과 강진의 차문화 다산의 구증구포 죽로차 제다법 = 254 백운동의 삼증삼쇄 떡차와 이덕리의『동다기』 = 268 일제강점기 이한영의 백운옥판차와 월산차 = 277 제6장 결론 = 288 부록 : 백운동 관련 인물과 문헌 필적 자료 = 296 주(註) = 345 참고문헌 = 360 찾아보기 = 362
도서상세가 비어있어 죄송합니다.
서지정보 입력인원이 지속적으로 상세가 부족한 도서에 대해서는 정보를 입력하고 있습니다.
더 충실한 도서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