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행기 조종 교과서
기내식에 만족하지 않는 마니아를 위한 항공 메커니즘 해설
나카무라 간지 | 보누스
2016년 09월 05일
9788964942642
230 페이지
정가 : 13,800원
총키핑권수 : 0권
현재대출가능권수 : 0권
대출정보
키핑되지 않은 도서로서, 대출하실 수 없습니다.
저자소개
전문 항공 해설자. 와세다 대학을 졸업하고 전일본공수주식회사(ANA)에서 30여 년 동안 보잉727과 보잉747의 조종사로 활동했다. 세계 10여 개국, 20여 도시의 노선을 비행했다. 총비행시간은 1만 4,807시간 33분. 현재는 항공사에서 쌓은 비행 경험을 살려 실제 승무원의 눈으로 본 비행기의 구조와 성능, 운항 등을 해설하며 집필 활동을 하고 있다....+전체보기. 주요 저서로는 《컬러 그림으로 이해하는 제트 여객기의 비밀》 《제트 엔진》 등이 있다.
이책은
파일럿은 비행기를 어떻게 조종하는가? 출발 준비·이륙·순항·하강·착륙·긴급 대처법. 비행술과 메커니즘의 개념을 잡아줄 항공 교양서. 여객기에 몸을 실을 때마다 경이로움과 의구심에 빠져들곤 한다. 수백 톤에 달하는 이 거대한 강철 새는 어떻게 하늘을 날아가는 것일까? 표지판도 없는 하늘에서 어떻게 목적지까지 길을 찾고, 승객의 안전을 지킬 수 있는지 말이다.....+전체보기 보딩브리지를 건널 때 살짝 엿볼 수 있는 조종석의 복잡한 모습에 놀라움과 호기심을 느껴본 적이 있다며, 《비행기 조종 교과서》가 많은 의문을 풀어줄 것이다......이하생략
목차
머리말 Chapter 1 파일럿은 출발 전에 무엇을 하는가 : Preflight 1-01 파일럿과 매뉴얼의 관계 1-02 출발 전 파일럿은 회의를 시작한다 1-03 먼저 날씨부터 확인한다 1-04 항공 정보를 확인한다 1-05 비행 계획을 세운다 1-06 비행기의 무게는 얼마나 될까? 1-07 유료 하중을 최대로 ....+전체보기하려면? 1-08 비행기의 균형을 점검한다 1-09 출발 게이트의 비행기로 향한다 1-10 비행기의 출발 준비를 한다 1-11 잠자는 비행기의 두뇌를 깨운다 1-12 비행기의 자세와 자이로스코프의 관계 토막 상식 1 파일럿 제복의 역할은? Chapter 2 비행기 엔진에 시동을 걸어보자 : Engine Start 2-01 조종석 상황을 알아본다 2-02 탑승을 개시한다 2-03 출발 5분 전에 파일럿이 하는 일 2-04 제트 엔진과 계기 2-05 엔진 스타트의 준비 2-06 본격적인 비행을 위한 엔진 스타트 2-07 활주로를 향해 나아가자! 2-08 조종 장치의 점검 2-09 유도로를 통해 활주로로 나아간다 2-10 비행기 라이트의 사용 방법 2-11 무선 장치의 조작 토막 상식 2 INS에서 PMS, 그리고 FMS로 Chapter 3 이륙, 창공으로 날아가기 위한 모든 것 : Take Off 3-01 이륙 추력을 세팅한다 3-02 추력을 설정하는 방법은 무엇인가? 3-03 이륙 추력의 크기는 어느 정도일까? 3-04 이륙을 위해 가속을 시작한다 3-05 V1(브이원) 이륙할 것인가, 말 것인가 3-06 VR(브이알) 기수를 들어 올리다 3-07 리프트오프에 필요한 거리 3-08 V2(브이투) 안전하게 이륙한다 3-09 이륙 추력에서 상승 추력으로 3-10 항상 최대 추력을 유지하지는 않는다 3-11 이륙 방법에는 두 종류가 있다 3-12 앞으로 나아가는 힘인 '추력’이란 무엇일까? 토막 상식 3 푸시백과 엔진 스타트 Chapter 4 하늘 높이 올라가자 : Climb 4-01 상승을 나타내는 계기 4-02 대기속도계 4-03 비행에 필요한 속도 4-04 기압 고도계 4-05 플라이트 레벨 4-06 어디까지 상승하는가? 4-07 계기에 의지해 선회한다 4-08 어떻게 선회하는가? 4-09 플라이 바이 와이어란? 4-10 오토파일럿을 언제 켤까? 4-11 노브 하나로 선회한다 토막 상식 4 외부 라이트를 점등하는 이유 Chapter 5 더 빨리, 더 멀리, 더 높이 : Cruise 5-01 레벨 오프, 수평비행으로 이행하다 5-02 장거리 순항은 스텝업 순항 5-03 근거리 순항일 경우는 어떻게 할까? 5-04 ECON 속도로 비용을 절감한다 5-05 FMS란 무엇인가? 5-06 루트 위를 어떻게 비행할까? 5-07 연료 잔량 확인은 중요하다 5-08 어떤 위치의 연료부터 사용하는가? 5-09 어디까지 멀리 날 수 있을까? 5-10 어디까지 높이 올라갈 수 있을까? 5-11 얼마나 빠르게 날 수 있을까? 5-12 신기한 마하의 세계 5-13 여객기는 왜 흔들릴까? 5-14 어떻게 위치를 알 수 있을까? 토막 상식 5 조종석에서는 어떤 소리가 들릴까? Chapter 6 하강은 어떻게 이루어지는가 : Descent & Approach 6-01 하강을 개시한다 6-02 어떻게 하강할까? 6-03 하강 방식에는 두 종류가 있다 6-04 아이들은 항력이 된다 6-05 객실고도도 하강한다 6-06 방빙 장치를 가동시킨다 6-07 공중대기할 때 어떻게 할까? 6-08 고도계를 QNH로 세팅한다 토막 상식 6 '3배 법칙’이란? Chapter 7 운항의 또 다른 시작, 착륙 : Landing 7-01 드디어 진입 개시 7-02 사용 활주로를 확인한다 7-03 “플랩 원” 7-04 'ILS를 탄다’란 무슨 뜻인가? 7-05 기어 다운 7-06 착륙할 때의 자세는 어떡해야 하는가? 7-07 활주로가 보이지 않으면 어떻게 해야 할까? 7-08 고 어라운드 7-09 착륙 시의 '당김 조작’ 7-10 VREF(브이레프)란 무엇인가? 7-11 착륙에 필요한 거리는 얼마인가? 7-12 오토 랜딩 7-13 각종 감속 장치의 역할은? 7-14 착륙 후에는 빠르게 활주로를 벗어난다 토막 상식 7 비행 선배들과의 조우 Chapter 8 긴급사태에 대처하는 파일럿의 자세 : Emergency 8-01 운용 한계란 무엇인가? 8-02 무엇이 엔진 스타트를 중지시키는가? 8-03 이륙 중지(RTO)를 할 때도 있다 8-04 V1에서 이륙을 속행할 경우 8-05 연료 방출 방법 8-06 긴급 하강은 어떻게 할까? 8-07 태평양 한가운데에서 엔진 고장 8-08 화재가 발생하면 어떻게 해야 할까? 8-09 유압 장치가 고장 났다면? 8-10 발전기에 문제가 발생했다면? 8-11 ETOPS/EDTO-180 규정이란? 8-12 긴급 착륙할 공항은 어떻게 선택할까? 8-13 충돌 방지 장치는 언제 작동할까? 8-14 블랙박스는 무슨 일을 하는가? 8-15 경보 시스템의 구조 8-16 시뮬레이터 훈련이란? 찾아보기 참고 문헌
도서상세가 비어있어 죄송합니다.
서지정보 입력인원이 지속적으로 상세가 부족한 도서에 대해서는 정보를 입력하고 있습니다.
더 충실한 도서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