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국호의 유래와 민국의 의미
국호에 응축된 한국근대사
황태연 | 청계출판사
2016년 04월 15일
9788961270588
264 페이지
정가 : 18,000원
총키핑권수 : 0권
현재대출가능권수 : 0권
대출정보
키핑되지 않은 도서로서, 대출하실 수 없습니다.
저자소개
황태연黃台淵은 서울대학교 외교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학과 대학원에서 「헤겔의 전쟁 개념」으로 석사학위를 받았고, 이어 독일 프랑크푸르트 괴테대학교에서 『지배와 노동(Herrschaft und Arbeit)』(1991)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1994년 동국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로 초빙되어 현재까지 동서양 정치철학과 정치사상을 연구하며 가르치고 있다. 그는....+전체보기 수십 년 동안 동서고금의 정치철학과 제諸학문을 융합시키는 학제적 연구에 헌신해 왔다......이하생략
이책은
2002년 '대~한민국' 연호와 함성도 벌써 오래 전의 일이 되어가고 있다. 이제 그 자랑찬 대한민국 국호의 유래와 의미를 곰곰히 생각해 때가 되었다. 대한민국의 유래와 의미를 추적하면, '대한'과 '민국', 이 두 단어 안에는 우리 민족의 내재적 발전의 영광과 외침外侵에 대한 영웅적 항전의 역사가 고스란히 압축되어 담겨있다. 왜냐하면 대한민국과 그 국호는....+전체보기 영·정조 이래 근세조선에서의 '민국'의 발전, 1894년 7월 23일 경복궁 침공으로 개시된 갑오왜란 속에서 업그레이드된 항일독립투쟁을 위한 민국적 황제국가 '대한제국'의 창건, 그리고 그때부터 1894년 9월 왜군의 철수 때까지 계속된 갑오왜란과 왜적에 대한 민족의 50년 장기항전의 포화 속에서 탄생했기 때문이다......이하생략
목차
머리말 1. 서 2. 고종의 국호 제정과 '대한’의 의미: '통일삼한’ 1) 고종의 '대한’ 국호 제정과 그 의미 2) 상해 임시의정원의 국호제정회의와 '대한’에 대한 논란 3. 국체로서의 '민국’의 의미: '백성의 나라’ 1) 영·정조 이래 조선의 '민국’: '지향’으로서의 '백성의 나라’ 2) 대한제국기 '민국....+전체보기’ 이념의 실현: '명실상부한’ 국민국가 3) 대한제국기 '대한민국’ 국호의 자연적 발생과 대중적 사용 4. 대한민국의 '민국’은 정체인가? 1) 대한민국의 '민국’은 중화'민국’을 모방한 '공화국’인가? 2) '민국’은 미국식 '민주국’의 모방인가? 5. 맺음말 참고문헌 찾아보기
도서상세가 비어있어 죄송합니다.
서지정보 입력인원이 지속적으로 상세가 부족한 도서에 대해서는 정보를 입력하고 있습니다.
더 충실한 도서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