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신의주 유동 박시봉방
백석 | Human & Books
2011년 02월 05일
9788960781115
188 페이지
정가 : 10,000원
총키핑권수 : 1 권
현재대출가능권수 : 1 권
대출정보
대출가능한 도서입니다.
저자소개
1912년 평북 정주에서 출생했다. 본명은 백기행(白夔行). 오산소학교를 거쳐 오산중학교를 마치고 일본 아오야마 학원에서 영문학을 공부했다. 1935년 8월 『조선일보』에 「정주성」을 발표하면서 작품활동을 시작했다. 1936년 시집『사슴』을 펴낸 이후,「통영」,「고향」,「남신의주 유동 박시봉방」등의 시를 발표했다. 해방 이후 고향 정주에 머물며 시작 활동을....+전체보기 했으나, 1969년 숙청되어 관평리에 살다가 1995년 1월에 사망한 것으로 밝혀졌다.
이책은
그는 '눌변의 미학’을 기반으로 식민지 체제가 기획하는 근대지향성의 역방향에 서서“근대가 침윤되지 않은 조선식 어법의 세계”를 보여주었다. 사이비 근대의 유입에 의해 기억 저편으로 밀려나는 토속적 세계의 단면을 토착적 언어로 정착시키는 데 성공했고, 물질적 계량주의가 확대되는 시기에 고립을 축복으로 전환시키는'소외의 미학’을 실현했다. 세상과 거리를 두고 ....+전체보기고고한 마음의 자리를 유지하면서 과거의 시간에서 위안을 얻고 격리된 공간에서 안식을 얻는 전례없이 독특한 이 '소외의 미학’은 모든 소중한 것이 사라진 공백의 시대를 버텨가게 한 백석의 정신적 준거였다. _이숭원(문학평론가, 서울여자대학교 교수)
목차
제1부 1935~1936 산지(山地) 가즈랑집 여우난골족(族) 고방 모닥불 고야(古夜) 오리 망아지 토끼 주막(酒幕) 적경(寂境) 미명계(未明界) 성외(城外) 쓸쓸한 길 여승 수라(修羅) 통영 오금덩이라는 곳 가키사키(杮崎)의 바다 정주성(定州城) 정문촌(旌門村) 여우난골 ....+전체보기 통영 연자간 탕약(湯藥) 남행시초(南行詩抄) 1: 창원도(昌原道) 남행시초 2: 통영 남행시초 3: 고성가도(固城街道) 남행시초 4: 삼천포 제2부 1937~1939 북관(北關) 노루 선우사(膳友辭) 산곡(山谷) 바다 추야일경(秋夜一景) 산숙(山宿) 백화(白樺) 나와 나타샤와 흰 당나귀 석양 고향 절망 개 외갓집 내가 생가각하는 것은 내가 이렇게 외면하고 삼호(三湖) 물계리(物界里) 대산동(大山洞) 가무라기의 낙 멧새소리 박각시 오는 저녁 너먼집 범 같은 노큰마니 동뇨부(童尿賦) 안둥(安東) 함남 도안(咸南道安) 서행시초(西行詩抄) 1:구장로(球場路) 서행시초 2: 북신(北新) 서행시초 3: 팔원(八院) 서행시초 4: 월림(月林) 장 제3부 1940~1948 목구(木具) 수박씨,호박씨 북방에서 허준(許俊) 『호박꽃초롱』서시 귀농(歸農) 국수 흰 바람벽이 있어 촌에서 온 아이 조당(操塘)에서 두보나 이백 같이 마을은 맨천 귀신이 돼서 칠월 백중 남신의주 유동 박시봉방(南新義州 柳洞 朴時逢方) 해설|백석 시의 꿈과 힘 / 이숭원 백석 연보
도서상세가 비어있어 죄송합니다.
서지정보 입력인원이 지속적으로 상세가 부족한 도서에 대해서는 정보를 입력하고 있습니다.
더 충실한 도서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