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마찬드란 박사의)두뇌 실험실
우리의 두뇌 속에는 무엇이 들어 있는가?
빌라야누르 라마찬드란 | 바다출판사
2015년 04월 01일
9788955617580
551 페이지
정가 : 17,000원
총키핑권수 : 3 권
현재대출가능권수 : 3 권
대출정보
대출가능한 도서입니다.
저자소개
샌디에이고 소재 캘리포니아 대학교의 심리학 및 신경과학 교수이자 뇌인지연구소 소장이다. 라 호야의 신경과학연구소, 스탠퍼드의 첨단행동과학연구소, 조국인 인도의 과학아카데미 회원으로도 활동하고 있다. 그는 <뉴스위크>가 뽑은 21세기 우리가 주목해야 할 가장 중요한 100명의 인물 중 한 명으로 선정되었으며, 네덜란드 왕립과학협회의 아리엔스 카퍼스 금메달, ....+전체보기호주국립대학교의 금메달, 올 소울 대학으로부터 받은 연구비를 포함하여 수많은 상을 수상하였다.
이책은
『라마찬드란 박사의 두뇌 실험실』은 우리 시대 가장 독창적인 신경학 책이면서 누구나 이해할 수 있도록 씌어 있다. 올리버 색스, 추천사 가운데
목차
추천사 / 올리버 색스 저자의 말 1 두뇌 속의 유령들 정체를 알 수 없는 장애들 패러데이의 실험 단계에 있는 의학의 현주소 두뇌의 해부학적 구조 잠재적 자살 충동을 지닌 여인 두 개의 '웃음회로’ 해마를 잃은 남자 두뇌 속의 특화된 모듈들 2 갑작스러운 신체의 상실을 두뇌는 어떻게 극복하는가? 갑작....+전체보기스러운 상실 펜필드의 호문쿨루스(두뇌 속의 작은 인간) 환상사지 내 안의 유령을 찾아서 환지통을 동반하는 휘파람 풋 페티시의 의학적 기원 3 최초의 성공적인 환상사지 절단 수술 팔 없이 태어난 사람도 환상사지를 경험하는가? 너무나 생생한 환상 마비된 사지 환상사지를 치료한 가상현실 상자 통증을 유발하는 잘못된 리매핑 통증은 뇌가 만들어낸 환상인가? 환지통 치료의 가능성 뇌가 만들어낸 허구적 신체상body image 4 두뇌는 어떻게 세상을 보는가? 두뇌는 어떻게 이미지를 인식하는가? 30개의 각기 다른 시각 영역 '마음’의 비밀을 풀어줄 맹시blindsight 시각피질의 두 경로, '어떻게’와'무엇’ 두뇌속에 살고 있는 좀비들 5 스스로를 이해하려는 두뇌의 모험 찰스 보넷 증후군이 보는 생생한 환상 시각의 '채워넣음’ 어떻게든 맹점blind spot을 채워넣는 두뇌 지각적 채워넣음과 개념적 채워넣음 찰스 보넷 증후군의 환각 사례 원숭이를 무릎에 앉힌 의사 선생님 두뇌 속에 월트 디즈니 만화를 넣고 사는 여인 제멋대로 환각을 만들어 내는 두뇌 6 두뇌는 어떻게 왼쪽과 오른쪽을 구분하는가? 편측무시 환자 무시neglect syndrome는 왜 우반구 손상 환자에게서만 나타나는가? 거울인식불능증 또는 거울나라증후군 무시환자들이 보지 못하는 세상의 왼편 7 왜 두뇌는 변명에 익숙해졌을까? 변명에 익숙한 뇌 질병인식불능증 부정 증후군denial syndrome에 대한 새로운 질문 부정 증후군에 대한 프로이트적 설명 부정 증후군에 대한 신경학적 설명 부정 증후군 환자들의 자기기만 부정과 기억상실 선택적 기억상실 부정과 프로이트의 심리적 방어기제 신체상에 대한 착각은 교정 가능한가? 유한성에 대한 두려움을 극복한 인간 8'진짜’나는 누구인가? 카프그라 증후군Capgras’syndrome “내 부모는 가짜예요” 코타르증후군Cotard’s syndrome 카프그라 망상을 초래하는 시선의 변화 프레골리Fregoli와 완강한 인종주의 '진짜’ 나는 누구인가? 9 두뇌는 왜 신을 보았다고 믿는가? 신은 어디에 존재하는가? 변연계와 감정 신이 된 남자 종교적 경험에 대한 진화 심리학적 설명 신God 절개술 위대한 과학자들의 마음을 사로잡은 서번트 신드롬 천재적 재능을 가진 서번트들 사례 서번트의 비을 품고 있는 모이랑 서번트들이 결여한 것, '창의성’이란무엇인가? 10 인간은 짐승인가, 천사인가? 웃음과 진화심리학 웃음의 구조적 메커니즘 거짓경보이론과 어색한 웃음 웃음에 깔려있는 신경메커니즘 11 사라진 쌍둥이를 찾아라! 환상임신 '생각’만으로 종양을 없앨 수 있는가? 마음과 몸의 상호작용 기존 패러다임에 도전하는'비정상’ 다중인격장애 12 자아는 두뇌의 어디에 존재하는가? 의식의 생물학적 기원에 대한 탐구 우리가 시각이라고 부르는 것 감각질qualia이 지각에 미치는 영향 감각질의 첫 번째 특징, '입력의 비가역성’ 감각질의 두 번째 특징, '출력의 유연성’ 감각질의 세 번째 특징, ' 단기기억장치’ 우유부단함을 제거 하는 감각질 맹점의 '채워넣음’과 머리 뒤편의 '가역성’ 몽유병 환자는 '펩시 시험’을 통과할 수 있는가? 의식활동을 관장하는 측두엽 자아는 무엇인가? 주 참고문헌
도서상세가 비어있어 죄송합니다.
서지정보 입력인원이 지속적으로 상세가 부족한 도서에 대해서는 정보를 입력하고 있습니다.
더 충실한 도서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