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당과 국가
정치체제의 궤적
니시무라 시게오 | 한울아카데미
2012년 09월 20일
9788946054660
340 페이지
정가 : 28,000원
총키핑권수 : 1 권
현재대출가능권수 : 1 권
대출정보
대출가능한 도서입니다.
저자소개
방송대학 교수. 중국 근현대 정치사 전공. 주요 저서로『중국 근대 동북지역사 연구』,『중국 민족주의와 민주주의』,『장쉐량』,『20세기 중국의 정치공간』등이 있다.
이책은
중국공산당의 독재체제는 어떻게 형성되었는가?
목차
추천의 글 한국어판 서문 머리말 20세기 중국 정치체제론의 정립을 위한 시도 제1장 '입헌군주제'에서 '입헌공화제'를 향하여 1. 청말 '입헌'제도 도입에 대한 회상 2. 20세기 '정당'의 형성과 청조의 정통성 상실 3. 중화민국 '입헌공화제'의 정통성을 둘러싼 두 개의 정부 4. 국민혁명과 중국국민당의 새로운 정치....+전체보기적 정통성 구축 제2장 중화민국의 '당-국가 체제'와 '국민참정회' 1. 「중화민국 훈정시기 약법」: 당, 정, 군 관계 2. 훈정체제 내에서 '헌법제정'을 향한 길 3. 국민당 권력의 정치적 침투력: '난징의 10년' 4. 항일전쟁 가운데 중국국민당의 '재편': '국민참정회'의 새로운 정치적 경로 5. 1944~1945년 헌정운동의 새로운 단계: '탈훈정 국가론' 제3장 전후 '연합정부'를 둘러싼 정치적 배당 1. 전쟁 중 및 전후 중국의 국제적 지위: 정치체제 변용의 계기 2. '헌법제정권력'의 정통성을 둘러싼 두 개의 노선 3. 중국국민당 훈정 아래의「1947년 헌법」: 정통성의 유출 4. 중국공산당의 '새로운 정치협상회의': 정통성의 구축 과정 5. 1949년의 중국혁명: 정치제도의 경로의존성 제4장 중국공산당 지배하의 '당-국가 체제' 1. 연합정부의 좌절과 '당-국가 체제': 부흥기부터 제1차 5개년 계획까지 2. 민주ㆍ자치의 상실과 동원의 시대로: 반(反)우파 투쟁과 대약진 3. 마오쩌둥 독재체제의 확립: 문화대혁명의 발동 4. 문혁의 수습과 국제적 계기의 조짐: 미ㆍ중 접근과 마오쩌둥의 사망 제5장 국제시스템과 '당-국가 체제'의 상극 1. 현대화 노선을 향한 길: 덩샤오핑 시대 2. 정치의 계절: 정치개혁과 천안문 사건 3. 공산당 영도 아래의 시장경제: 장쩌민 시대 4. '당-국가 체제'의 시련: 후진타오 시대 결론 21세기 중국의 도전 참고문헌 기본서 안내 지은이 후기 옮긴이 후기
도서상세가 비어있어 죄송합니다.
서지정보 입력인원이 지속적으로 상세가 부족한 도서에 대해서는 정보를 입력하고 있습니다.
더 충실한 도서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Top